[구미시청 교통정책과 이형대 주무관]
구미시청 교통정책과 이형대 주무관
지난 4월 17일, 야간에 횡단보도가 잘 보이지 않던 비산동 행정복지센터 앞과 오상중·고등학교 정문 앞 등 5개소에 활주로형 횡단보도가 설치되었다.
특히, 이번 설치는 여러 지자체가 많이 하는 방법을 구사하지 않고, 구미시 교통정책과만의 특색있는 설치라 시민들의 눈길을 끌고 있다.
작업 전 횡단보도 모습
작업 중 횡단보도 모습
작업 후 야간 횡단보도 모습
시는 LED 표지병의 색상을 백색뿐만 아니라 황색도 도입하고, 설치 시 횡단보도와의 이격거리를 50cm 정도 둔 것이다.
다른 지자체의 기존 설치 방법은 횡단보도 양 끝 선에 맞추어 일률적으로 백색을 설치한 경우가 많다. 하지만, 구미시에서는 횡단보도 중간에 설치된 중앙선도 고려하여 황색 LED 표지병으로 중앙선 표시도 나타내었다. 시민들의 건의에 따라 횡단보도 양 끝 선과 50cm 정도의 이격거리를 두어, 멀리서도 횡단보도를 명확히 인식할 수 있도록 설치하였다.
활주로형 횡단보도는 매립 형태의 점등형 표지병(LED)을 도로의 가로 방향을 따라 1.2~1.5m 간격으로 횡단보도 양 끝 지점에 각각 1개씩 설치되는 도로시설물이다. 설치된 모양이 마치 공항 활주로의 유도등 같이 생겼다 하여 ‘활주로형 횡단보도’로 불린다. 왕복 4차로의 경우, 약 18개의 표지병이 횡단보도를 감싸는 형태로 설치된다.
이 시설은 낮에 태양광으로 충전하여 야간에 LED 빛을 내기 때문에 횡단보도 시인성을 강화하여 운전자들에게 큰 도움을 준다. 특히, 비가 오는 날의 효과는 2배로 나타나 시민들의 반응은 긍정적이다.
비가 왔을 때 일반적인 차선은 빗물에 반사되거나, 빛을 흡수하여 잘 보이지 않는 경우가 많다. 하지만, LED 표지병의 경우 빛을 내는 특성상 횡단보도의 위치와 윤곽을 점처럼 나타내기 때문에 운전자 시인성 측면에서 우수하다고 할 수 있다.
송정동에 살고 있다는 한 시민은 “비 오는 날은 차선이 잘 안 보이기 때문에 앞차를 따라가느라 운전하기 위험했는데, 활주로형 횡단보도만큼은 확실히 잘 보인다”며 “적절한 장소에 많이 설치되었으면 좋겠다”고 소감을 밝혔다.
한편, 우리 구미시의 이번 설치는 신호등이 없는 횡단보도(무신호 횡단보도)에 중점을 두었으며, 시에서는 앞으로도 보행자 교통사고 예방을 위하여 일반도로뿐만 아니라, 어린이보호구역, 노인보호구역 등 야간 조명이 어두운 곳에 활주로형 횡단보도를 확대 설치할 계획이라고 한다.
이 기사에 구독료로 응원하고 싶습니다