[교육문화신문=이왕조 기자]
공무원 국어 시험에서 조사의 출제 패턴에 대해 알아보기로 한다. 조사란 주로 체언에 붙어 뒤에 오는 다른 단어에 대하여 가지는 문법적 관계를 표시하거나 그 말의 뜻을 도와주는 품사이다.
조사는 공무원 국어시험에서 ▲ 조사와 어미의 구별 ▲ 조사의 구별 ▲ 조사의 쓰임새 ▲ 조사의 의미를 묻는 유형으로 출제가 된다. 출제 유형을 먼저 파악한 후 아래의 출제 예문을 통해 공무원 국어 시험에서 문법 파트 ‘조사’의 출제 경향을 숙지하면 단기에 ‘조사’ 영역을 자기 것으로 소화할 수 있다.
▲ 조사와 어미의 구별
먼저 조사와 어미의 구별을 묻는 문제가 출제가 되는 이유는 같은 글자임에도 조사와 어미로 구별해야하는 단어가 있기 때문이다. 여기에는 ‘-고, -은/는, -요’가 있다. 이 경우에는 생략이 가능하면 ‘조사’, 불가능하면 ‘어미’라고 판단하면 된다.
▲ 조사의 구별
조사의 구별은 같은 단어라고 할지라도 문장에 따라 여러 가지 문장성분이나 의미로 쓰이기 때문에 출제가 되는 유형이다. 여기에서 출제가 이루어지는 단어는 ‘에서, 이/가, 와/과, 하고, 께서, 은/는, 마저’ 등이 있다.
‘에서’는 주격조사와 부사격 조사의 구별을 묻는 유형으로 출제가 이루어진다. 서술어를 기준으로 ‘누가, 무엇이’에 해당하는 집단이나 단체는 ‘주격조사’이고, 호응되는 주어와 서술어가 있고 ‘장소’에 해당하는 의미를 지니면 ‘부사격조사’이다.
‘이/가’는 주격조사와 보격조사로 쓰인다. 서술어가 ‘되다/아니다’이고 그 서술어의 의미를 보충하는 단어이면 ‘보격조사’이고, 주체의 의미로 쓰이면 ‘주격조사’이다.
‘께서’는 높임의 주격조사로만 쓰인다.
‘와/과’는 ‘하고/(이)랑’과 같은 경우로 출제가 이루어진다. ‘와/과’는 접속조사로서의 의미가 있고 부사격조사로서의 의미도 있다. 이 둘의 구별을 물을 수 있고, 부사격조사로서의 ‘와/과’는 ‘함께, 상대, 비교’의 의미도 있다. 이 세 가지 의미를 구별할 수 있는 능력을 묻는 문제로도 출제가 이루어진다.
‘은/는’은 조사와 어미의 구별을 물을 수 있으나 아직 공무원 시험에서 출제가 된 적은 없다. 이 경우는 삭제 여부를 살펴서 접근하면 된다. 즉, 삭제해도 문장이 성립되면 ‘조사’이다. 또 ‘은/는’은 보조사이냐 부사격조사이냐를 묻는 유형으로는 출제가 된 적이 있다. 보조사와 부사격조사의 구별은 출제된 단어들끼리 비교해서 보조사는 부사격조사 앞에 올 수 없음을 명심하면 쉽게 구별할 수 있다.
▲ 조사의 쓰임새
이 유형은 문장에서 혼동하기 쉬운 조사를 묻는 유형이다. 즉 이 문장에서 어떤 조사가 올 수 있느냐를 구별해내는 능력을 묻는 유형이다. 조금 난이도가 높은 유형이기도 하다.
‘에서’는 ‘에’와의 구별을 묻는 식으로 출제가 이루어진다. ‘에서’는 ① 장소나 공간, ② 출발점, 출처 ③ 근거, ④ 비교의 의미를 지니고 있다. 이외에 주격 조사로서도 ‘에서’가 쓰인다.
‘에’는 ‘에게’나 ‘을/를’과의 구별을 묻는 식으로 출제된다. 먼저 ‘에’는 서술어가 자동사일 경우에 호응되는 부사격으로 쓰인다. 서술어가 타동사일 경우에는 ‘을/를’이 쓰인다. 또 앞의 체언이 유정물일 때에는 ‘에게’, 무정물일 경우에는 ‘에’를 쓴다.
관형격 조사 ‘의’는 체언을 꾸민다. 따라서 ‘의’ 다음에는 반드시 체언이 나와야 한다. ‘의’ 자리에 ‘을/를’이나 ‘에’를 넣은 문장이 출제되는 경우가 있으니 반드시 뒤에 오는 단어의 성격을 잘 확인해야 한다.
‘로서’는 신분, 지위, 자격의 의미로, ‘로써’는 수단이나 도구의 의미를 가진다. 이 둘의 구별을 묻는 문제가 출제된다. 또 ‘라고’는 직접인용, ‘고’는 간접인용일 때 쓰인다.
▲ 조사의 의미
이 유형은 보기의 문장에 쓰인 조사와 같은 의미를 지니고 있는 다른 예문의 조사를 찾으라는 식으로 출제된다. 생각보다 정답률이 높지 않다. 이 유형은 출제된 조사를 무시하고 문장 전체 흐름을 파악해서 이 조사가 지니는 의미를 추론해서 접근해야 한다.
이 기사에 구독료로 응원하고 싶습니다